top of page

BIDAM Focus10.3 (Sat) 6pm Busan Dance Theater Shin 

BIDAM 포커스10.3 (토) 6pm 부산춤공간Shin 

앉아있는 소  Sitting Bull

 

삶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얽혀있다. 그리고 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우리는 갈등한다. 그것은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에서 비롯된 집착이기에 삶이라는 옷을 입고있는한, 어쩌면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다. 하루살이의 삶 밖에 주어지지 않는 인간의 형상으로 언제까지고 깨어보겠다고 부스럭거린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의 나와 여러 사람들은 “앉아 있는 소”처럼 이미 양면성을 가진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Life is complicated and various circumstances are involved. Also, we demand new changes all the time and have conflicts. That obsession comes from human’s instinctive desires, so as long as we are wearing the clothes of life, we cannot be freed from this. We make a rustle to break out of this as a form of human who only has a life of a mayfly. Other people and I who are living in this society may already have two faces as a form of a human like the “sitting bull "

이태상프로젝트 (한국) Lee Tae Sang Project (Korea)

 

이태상 댄스 프로젝트는 안무가 이태상을 중심으로 현재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무용수들이 뭉친 프로젝트 그룹이다. 현대 무용의 새로운 움직임을 찾고, 활발한 창작 활동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 무대에 한국의 현대 무용을 널리 알리며, 보다 많은 관객들이 즐길 수 있는 무용 공연의 대중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달의 흐름>을 통해 데뷔한 이래, 안무가 이태상은 자신만의 독특한 세련됨과 간결미, 탄탄한 서술적 흐름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Lee Tae Sang Project is a project group consisted of choreographer Lee Tae Sang and other dancers who are currently practicing in various fields. This has been founded to look for new movements in contemporary dance, provide publicity of Korea’s contemporary dance through creative activity not only in Korea’s stage but also in overseas’ stage and popularizing the dance performance so that more audience can enjoy

 

안무 : 이태상  | 출연 : 김평수, 손영일, 이종윤

 

Choreography : Lee Taesang  | Artist : Kim Pyungsu, Son Youngil, Lee Jongyun

Cho

 

여기, 지금  Qui, ora

 

작품은 소리 자극을 통해 임시 공간학을 변증학적으로 보여주는 세 파트로 이루어졌다. 연장된 시간, 침묵, (그녀가 천천히 몸에 걸치는) 부스럭거리는 회색 우비가 동작에 미묘한 음향효과를 넣는다. 이 즉흥 제스쳐는 보이지 않는 실에 묶인 인형이 형이상학적인 움직임을 보이다 점점 격렬한 리듬을 따르게 만든다. 인간적인 존재감에서 탈피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을 보여주는 의식적인 한계다.

 

This solo examines in a straightforward way how the body reactsin the conditions of stage situations co- created by space, costumes, sounds and the proximity of the audience. All of these aspects decide in the given moment – "here and now“, „qui, ora“ – about the form of gesture and rhythm, about each step and movement of this intimate journey. An empty stage, a dispassionate look at the very essence of dance language and stage presence – this is the minimalist task with which the dancers operate. It heads away from the metaphysical image of puppets fettered by internal and external limitations, including gravitational resistance, and finds a psychological dimension in motion, capable of powerful emotional impact.

클라우디아 카타르치 (이탈리아) Claudia Catarzi (Italy)

 

클라우디아 카타르치는 로마에서 Micha Hoecke의 작업을 통해 커리어를 시작, Constanza Macras' Dorky Park (베를린), Iztok Kovac’s En-knap Group (류블랴나), Compagnia Virgilio Sieni (피렌체) , Cie Ambra Senatore (프랑스), Sasha Waltz & Guests 등 주요 댄스컴퍼니에서 활동했다.

유명 이스라엘 안무가 Yasmeen Godder 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였고, Ohad Naharin 의 Batsheva 댄스컴퍼니의 객원무용수로 활동한 바 있다. 그녀는 또한 피터 그리너웨이의 단편 영화 '타워'에 참여하였는데 이와같은 풍부한 경험은 그녀의 2011 솔로 작품인 '여기, 지금'의 밑바탕이 되었다. 그녀는 이 작품으로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Aerowaves Spring Forward Festival에 선정되었다. 그녀의 또다른 작품인 'Sul punto'는 Romaeuropa / Festival DNA 2013 에서 심사위원상과 관객상을 받았다. 

 

Claudia Catarzi started her carrier working with Micha Van Hoecke’s Ensemble in Rome. Later she was part of important companies such as Constanza Macras’ Dorky Park (Berlin), Iztok Kovac’s En-knap Group (Ljubljana), Compagnia Virgilio Sieni (Florence), Cie Ambra Senatore (France), and also with Sasha Waltz & Guests. She was part of a research project with the renowned Israeli choreographer Yasmeen Godder and she was guest of Ohad Naharin’s Batsheva Dance Company. She participated in the Peter Greenaway’s short film The Towers. These rich experiences have led to creating the solo Qui, ora in 2011, Which was awarded by numerous awards and was selected for Aerowaves Spring Forward Festival. Her another solo Sul punto won the prize of the jury and the audience award at Romaeuropa / Festival DNA 2013.

세상에 더 가까이  Close Up With The World / Au Plus Prés Du Monde 

 

어떻게 여성성을 부인하거나 억제하지 않으면서 남성성을 받아들이고 살 수 있을까?”

 

무대 위의 등장인물들은 각각의 차이, 유사성, 성향, 욕망, 충동과 마주하게 되고 자신 안의 이중성을 둘러싼 소통을 통해 이들을 해석한다. 무대의 역학이 사람들의 기대나 미리 정해진 것들을 양분하거나 벗어나지 않고 사람 사이의 관계를 보여줄 수 있을까? 이는 대결이 아니라 받아들임이 항복을 의미하지 않는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우리 안의 다양한 역학과 힘에 의해 자극받는다. 밖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 각자의 사회적, 사적, 문화적 행동을 통해 개인의 개성을 결정하도록 도와주는 요인이다. 나는 춤이라는 언어를 통해 우리 안의 깊은 그림자 속에 존재하는 삶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밖으로 끄집어내고 싶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표면 아래에 존재하지만 우리가 우리일 수 있도록 행동하게 하는 힘이다

 

“How does one live and accept one’s masculinity other than by negating or subduing femininity?”

On stage, the characters are faced with their respective differences, similarities, leanings, desires and urges and will interpret them in their interactions around this duality which lies within them. Can the stage dynamics uncov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ther than dichotomized and go beyond the expected and pre-determined? It is not about confrontation, but about reaching a state where acceptance does not imply surrender. Each one of us is prompted by a variety of internal dynamics and forces; they remain invisible to the outside, yet are what help us define our uniqueness in terms of our behaviour, be it social, intimate or cultural. Through the language of dance, I try to let these potential life forces, deep within the shadows of each of us, come to light. They lie beneath the surface and yet a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way we behave as we do.

컴퍼니 47.49 François Veyrunes (프랑스) 컴퍼니 47•49 François Veyrunes (France)

 

안무가 François Veyrunes 는 오랜 기간에 걸쳐 Compagnie 47•49에서 열정과 결단력으로 자신만의 예술적 접근법을 개발했다. 그는 고유한 도전과제, 창의성, 자유 의지가 있는 개인이 삶의 의미를 둘러싸고 있는 질문을 깊이 고찰하려면 시간이라는 가치가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작품을 발전시키기 위해 그가 조직한 팀은 주의깊게 듣고, 깊이 사색하고, 의미를 추구하고, 흔쾌히 새로운 아이디어를 마주할 의지가 있는 문화를 만들었다. 그는 예술적이면서도 인간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현실감 있는 동시에 시적인 안무를 창조해낸다.

 

François Veyrunes has developed with great enthusiasm and determination his artistic approach over the long term in Compagnie 47•49.

He sees time as an essential value in digging down ever deeper into the questions surrounding the meaning of life as individuals with their own challenges, creativity and free will. To make progress in this work, he has created a team in which careful listening, thoughtfulness, a quest for meaning and a willingness to confront ideas are cultivated. He grounds his creative work in artistic and human values to produce a choreography that is both in touch with the world and poetic.

 

Choreography : François Veyrunes
In close collaboration with: Jeremy Kouyoumdjian, Sylvère Lamotte
Artist : Sylvère Lamotte, Alexandre Bachelard.

 

더 로드 THE ROAD

 

아리랑이라는 한국의 대표적 감성을 통해 우리의 과거를 통한 한 과 절규의 길을 새로운 현대적 시각으로 표출시켜 보고자 한다. 이는 아리랑의 과거의 길, 현재, 미래의 길을 얘기 할 것이며 이것이 우리 인생의 길이라 생각한다. 이런 <길 :THE ROAD>이라는 주제를 한국적 호흡에 현대무용과의 결합을 통하여 서양과 동양의 정,중,동 및 절제와 발산 그리고 몸의 에너지를 통한 한국적이며 현대적 움직임의 미를 보여 줄 것이다.

 

This piece ‘Arirang’ has motivated from particular Korean style movement and way of breath, based on Korean spirit and emotion. This piece produced with big passion of conservative Korea’s dance and spirit in our fast, busy modern life. It is not only using a traditional dance

movement but also combine with modern contemporary movements to create new style. It will show the beauty of movement thorough body energy and great combination of east and west culture.

댄스컴퍼니 더 바디 (한국) Dance Company The Body (Korea)

 

댄스 컴퍼니 더바디는 해마다 꾸준한 신작을 발표하며 수준 높은 테크닉과 탄탄한 안무, 연출력을 과시하며,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전문예술단체이다. 일상 속에서 소재를 찾아내어 작품에 반영하는 아이디어와 끼가 넘치는 단원들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관객의 감정과 생각을 쉽게 끌어내 공유 할 수 있는 무대를 보여주며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First established as Lee yun kyung - Ryu seok hun Dance Company in 2001, they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professional dance organization in 2004 chaning the name to "The Body". With their zeal and ideas, the dance company THE BODY is a unique organization where people from various fields as dance, theater, art converge to from works that communicate with mass.

 

안무 : 류석훈 | 출연 : 류석훈 이윤경
Choreography : Ryu Seokhun | Artist : Ryu Seokhun, Lee Yunkyung

 

bottom of page